JUJUN_haeneo Experience Center
The architectural symbolism of the building implies more than just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These ostensible iconic symbolism, along with the formation of space, will affect the publicity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for example, as a general citizen of the local community, and designed to respond to the scenic nature of the neighborhood, as planned for the tourism and environment.
건축이 가지는 건축적 상징성은 단지 외관으로 보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형태의 상징적 역할은 공간의 구성과 함께 지역주민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체험관으로서의 기능을 수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을 표방하고, 자리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은 몽돌과 미역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휴양철에 인근의 어촌체험센터와 연계하여 해녀체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그런 배경과 성격을 나타내 건물의 조형에 상징적 요소를 가미하고, 그 볼륨이나 재료의 투박함을 의도하였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장소에 대한 재미있는 대응과, 1층의 필로티와 해안 쪽으로 돌아들어가는 2층의 계단에서 건축물은 단순한 오브제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통해 건축물의 이용자에 대한 또다른 배려를 하고 있다.
그 재료의 사용에 있어서 노출콘크리트의 착색을 통해 상징적인 색상을 사용하면서 형태적 분절을 표현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투박하면서 일관된 외벽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런 작업을 통해 주변 환경을 내적으로 수용하면서 외적으로는 속해지려는 모습으로 비춰지기를 원했다.
도로북측에서 보이는 모습으로 동해의 열린시선이 연속되는 해안가의 수평선의 단절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자갈이 많은 동해의 해안가의 질감을 차용한 거친느낌의 계단 열린 수평선의 느낌을 극대화하는 미역을 모티브로 한 벽체의 수직적 분절
1층의 일부는 공용화장실로 일반인에게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감은 정면메스의 2층 부분의 Opening과 더불어 풍부한 Mass감을 느끼게 한다.
건축물의 재실자들에 대한 배려와 해안가에 위치한 건물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조망하는 틀로서의 이중적 역할